logo
즐겨찾기
즐겨찾기-화살표
게시판 제목의아이콘을 선택하면
즐겨찾기에 추가됩니다.
모바일-메뉴
모바일-글쓰기

[85회 할말이슈] 공영 방송의 의미 퇴색

더보기
https://community.spt.co.kr/disaster_media_rules/98184770

 

 

참사보도시 객관성과 신중함은 공영방송의 기본이자 덕목이라 생각합니다.

방송심의위원회의 경고 단계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"방심위 결정은 '문제없음', 행정지도 단계인 '의견제시'와 '권고', 법정 제재인 '주의'와 '경고', '프로그램 정정·수정·중지 및 관계자 징계', '과징금'으로 구분된다. 법정 제재부터는 방송사 재허가·재승인시 감점 사유가 된다."

 

이 중 MBC는 법정제재인 "주의"를 받았다고 하니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됩니다.

사고 장면이 포함 된 경우 방영 전 자막 주의 조치를 하거나, 대체 자료로 애니메이션을 사용

혹은 최소한의 필요 장면만 내보내더라도 보도나 내용 전달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

트라우마를 유발 할 수 있는 사고 장면을 여과없이 내보낸 것에는 분명한 책임이 있다고 봅니다.

 

사실인데 뭐 어떠냐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, 사회에는 다양한 사람이 공존하며 살고 있고

가장 큰 피해자인 유족들의 심정을 배려하는 것이 우리 사회가 그들에게 해줄 수 있는

첫번 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. 

 

사고가 난 장면과 사람이 사망하는 그 순간의 자극적인 장면은 분명 시청률을 끌어올리고

관심을 끄는데 도움이 됐을거라 생각한 방송사의 보도입니다. 다만 뉴스는 남녀노소, 유족, 피해자

"모두 시청할 수 있는" 자료 보도 매체라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됩니다.

 

사고의 경위와 원인, 앞으로의 대책이나 수습 및 해결 방안을 일목요연하게 보도하더라도

사고에 대한 사실 전달, 진위여부는 변하지 않습니다. 사실을 전달하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지만,

언론은 어떠한 방식으로 사실을 대중에게 전달할 지 고민해야 합니다.

 

기본적인 배려와 유족의 감정을 최우선시 하면서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

있었다고 생각합니다.

신고하기
close-icon

작성자 Jess

신고글 [85회 할말이슈] 공영 방송의 의미 퇴색

사유선택
  • 욕설/비하 발언
  • 음란성
  •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
  • 개인정보 노출
  • 특정인 비방
  • 기타

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댓글 0
신고하기
close-icon

작성자 Jess

신고글 [85회 할말이슈] 공영 방송의 의미 퇴색

사유선택
  • 욕설/비하 발언
  • 음란성
  •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
  • 개인정보 노출
  • 특정인 비방
  • 기타

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